mb, 군에 자녀보낸 부모마음 좀 해아려 야 된다-
페이지 정보
본문
남북 간에 무력 충돌이 벌어질 것 같은 분위기다. 국방장관, 보수 야당 당수, 족벌 신문 등은 북이 도발 시 강경 대응해야 한다는 논리를 편다. 이들은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구체적인 대북 응징 방법을 제시한다. 그들의 전투적인 자세는 경쟁적으로 강화되는 추세다.
이상희 국방부장관은 며칠 전 국회에서 ‘북한의 미사일 등 도발 공격 시 발사점에 대해 즉각적인 타격을 가하는 대비를 하겠다’고 말했다. 군은 서해 북방한계선(NLL) 등지에서 무력 충돌 발생 시 현장 지휘관에게 상황 대처 권한을 확대하는 조치를 이미 취해 놓았다. 이에 대해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는 23일 ‘북한의 무력공격 시 공격지점을 타격하고, 북한이 재반격을 해올 경우에는 철저히 재반격을 가해야 한다’고 말했다. 사실상 전면전 불사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. 동아일보도 같은 날 사설을 통해 ‘북한 도발 시 대응타격은 군의 당연한 임무다’라는 식의 논조를 폈다.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군 당국은 어쩔 수 없다 해도 정당 당수나 언론이 전면전 불사론까지 전개하는 것은 문제다.
<정당 당수나 언론이 전면전 불사론까지 전개>
한반도는 155마일 휴전선이 직선의 형태인데다, 무력 대치 상태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하다는 특성이 있다. 일단 한 곳에서 총격전이 벌어지면 전 전선으로 확대되는 것을 자제하기 힘든 구조다. 무력 충돌이 발생할 경우 전면전으로 확대되지 않고 적당한 선에서 그친다는 것은 쉽지 않다. 한반도 전면전 발생 시 수백 만 명의 희생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추정이 제기된 것은 90년대의 일이다. 그 이후 남북의 무력 증강이 계속된 것을 상정하면 더 많은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.
남북 간에 만에 하나 무력 충돌이 발생할 경우 그 이후를 상상해 보자. 우선 인명피해다. 분쟁이 좁은 지역에 국한된다 해도 꽃다운 젊은 나이의 장병들이 희생된다. 군대의 존재 의의를 살필 때 희생은 불가피한 것이라 해도 무력 충돌의 원인이나 배경이 우선 대의명분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. 이 문제는 남북 간 긴장고조의 책임 소재를 따진다면 간단치 않다. 남북대치와 관련한 여론조사를 보면 진보·수구언론에 차이가 있지만 이명박 정부가 원인제공을 했다는 국민의 견해가 엄연히 존재한다. 예방 가능한 무력 충돌이었다면, 피해자들의 가슴을 아프게 할 것이다.
최고 권력자들이 일선 장병들의 안위보다 자신의 권위나 위신을 먼저 챙긴다면 큰 문제다. 우리나라의 경우 50대 이상 세대 가운데 자신은 물론 아들의 병역 의무를 소홀히 한 경우가 너무 많다. 자신의 아들이 군에 가는 것은 기피하면서 남의 아들이 군 복무 중 목숨이 위태롭게 되는 상황으로 몰고 가는 일은 없는지 살필 일이다.
<남북, 무력 의존 발상에서 벗어나야>
한반도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. 그 후유증이 너무 클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. 남북은 무력에 의존한다는 구시대적 발상을 거둬내야 한다.
지구촌 차원의 큰 시각으로 보면, 남북 간 긴장 고조나 무력 충돌의 책임은 남북 양쪽에게 있다. 누가 원인을 제공했느냐는 남북 간에 심각한 문제이지만 제 3자가 볼 때는 그렇지 않다. 남북이 다 똑같다는 손쉬운 결론이 국제사회에서 일반화되는 것이다. 한반도 분쟁은 일차적으로 남북 간의 문제인 것이고 그 책임은 두 체제에 있는 것이라는 손쉬운 논리가 전개된다. 남북은 이제 날 선 태도를 거두고 진지한 자세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.
이명박 대통령은 군에 자녀를 보낸 부모들의 심정을 헤아려야 한다. 그리고 북과 진정성을 갖고 소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. 이 대통령의 북에 대한 태도는 ‘촛불’에 대한 태도와 엇비슷하다. 시위저지를 위해 동원되는 전투경찰의 부모들이나 군에 간 자녀를 둔 부모들이 밤잠을 설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.
이런 sha..내년에 군대가는데...국민은 죽어도 괜찮단 건가..6.25때도 전쟁나서 시민들 지나가던 다리에 폭탄터뜨리고 그랬다..만약 최악의 상황이 터지면 또 시민은 이런일 겪을지도 모른다..전쟁 발발하지 않길 기대합시다..
댓글목록

